중앙대학교 연극학과 공연연보 |
|||
연도 |
공연작품 |
작가 |
연출 |
1959 |
《베니스의 상인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양광남(교수) |
1960 |
《오셀로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박태원 |
《고래》 | 유진 오닐(Eugene Gladstone O’Neill) | 맹만재 | |
《대왕은 죽기를 거부했다》 | 이근삼 | 김기훈 | |
《더러운 손》 | J.P.사르트르(Jean Paul Sartre) | 추송웅 | |
1961 |
《계곡의 그늘》 | 존 싱(John Millinton Synge) | 양여운 |
《관》 | 전영일 | 이성주 | |
《덴빌역의 사건》 | 유진 오닐(Eugene Gladstone O’Neill) | 함현진 | |
《영원한 탈옥수》 | 김청일 | 함현진 | |
《결혼신청》 | 안톤 체호프(Anton Pavlovich Chekhov) | 박영걸 | |
《헤이스티 하트》 | 존 패트릭(John Patrick) | 정일몽 | |
1962 |
《시를 만드는 어릿광대들》 | 전영일 | 이성주 |
《승자와 패자》 | 존 골즈워디(John Galsworthy) | 이재형 | |
《첫과 끝》 | 존 골즈워디(John Galsworthy) | 함현진 | |
《벽》 | J.P.사르트르(Jean Paul Sartre) | 양영준 | |
《거룩한 직업》 | 이근삼 | 전시중 | |
《정야》 | 전영일 | 김상훈 | |
《정직한 사기한》 | 오영진 | 전영일 | |
《정의의 사람들》 | 알베르 카뮈 (Albert Camus) | 이성주 | |
《긴 귀향 항로》 | 유진 오닐(Eugene Gladstone O’Neill) | 함현진 | |
《밧줄》 | 유진 오닐(Eugene Gladstone O’Neill) | 김창식 | |
《십자가의 표시가 있는 곳》 | 유진 오닐(Eugene Gladstone O’Neill) | 이재형 | |
1963 |
《오이디푸스 왕》 | 소포클레스(Sophocles) | 김창식 |
《원숭이의 재판》 | 로버트 E.리(Robert Edward Lee) | 양광남 | |
1964 |
《서쪽 나라에서 온 바람둥이》 | 존 싱(John Millinton Synge) | 한성주 |
《줄리어스 시저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김안호 | |
1965 |
《실수 연발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이승규 |
《청혼》 | 안톤 체호프(Anton Pavlovich Chekhov) | 양 창 | |
《긴 귀향 항로》 | 유진 오닐(Eugene Gladstone O’Neill) | 고승길 | |
《황제 존스》 | 유진 오닐(Eugene Gladstone O’Neill) | 이승규 | |
《토끼와 포수》 | 박조열 | 김한무 | |
《달이 떠오를 때》 | 그레고리 부인(Lady Augusta Gregory) | 이광춘 | |
1966 |
《버스 스톱》 | 윌리엄 인지(William Inge) | 고승길 |
《그 사람》 | 김창식 | 고승길 | |
《용감한 사형수》 | H. 홀(Holworthy Hall),R. 미들매스(Robert Middlemass) | 천성육 | |
《석학》 | 기노시타 준지(Kinosita Zyunnzi) | 고승길 | |
《맥베스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이성주 | |
1967 |
《소매치기》 | 김길호 | 태근식 |
《고래》 | 유진 오닐(Eugene Gladstone O’Neill) | 도윤주 | |
《우리 읍내》 | 쏜톤 와일더(Thornton Niven Wilder) | 고병인 | |
《출발》 | 윤대성 | 이영규 | |
《목이 긴 두 사람의 대화》 | 박조열 | 권윤순 | |
《오! 머나먼 나라여》 | 스텐리 리처드(Stanley Richards) | 이영규 | |
《합의》 | 정구 | 남칠헌 | |
《상환》 | 프리츠 카린시(Frigyes Karinthy) | 태근식 | |
1968 |
《고문관》 | 박양원 | 이영규 |
《연기된 재판》 | 유주현 | 태근식 | |
《밤으로의 긴 여로》 | 유진 오닐(Eugene Gladstone O’Neill) | 태근식 | |
《여인숙의 일야》 | 던세이니(Lord Dunsany) | 이종찬 | |
《막간극》 | 던세이니(Lord Dunsany) | 이종찬 | |
《침입자》 | 마테를링크(Maurice Maeterlinck | 이영규 | |
《거룩한 직업》 | 이근삼 | 양 찬 | |
《목이 긴 두 사람의 대화》 | 박조열 | 김승일 | |
《다뉴브 강의 기적》 | 맥스웰 앤더슨(Maxwell Anderson) | 이영규 | |
《밧줄》 | 유진 오닐(Eugene Gladstone O’Neill) | 최치림 | |
1969 |
《용감한 사형수》 | H. 홀(Holworthy Hall),R. 미들매스(Robert Middlemass) | 이성영 |
《갈색 머리카락》 | 김종달 | 이영규 | |
《유적지의 사람들》 | 이영규 | 최상식 | |
《회화》 | 구관희 | 최상식 | |
《다리 위에서의 조망》 | 아서 밀러(Arthur Miller) | 이영규 | |
《무덥고 불안한 여름》 | 김석호 | 이성영 | |
《백화는 지다》 | 존 골즈워디(John Galsworthy) | 최상식 | |
《동물원의 호박꽃》 | 이근삼 | 신민섭 | |
《갈가마귀》 | 오재호 | 정 현 | |
《귀로》 | 오재호 | 이영규 | |
《교향》 | 오재호 | 정 현 | |
《어떤 수난기》 | 김석야 | 최치림 | |
《햄릿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이성영 | |
1970 |
《점을 칩니다》 | 오재호 | 박근영 |
《창백한 곡예사들》 | 이영규 | 최상식 | |
《모래와 산소》 | 전봉건 | 장남수 | |
1971 |
《느릅나무 밑의 욕망》 | 유진 오닐(Eugene Gladstone O’Neill) | 최상식 |
《명암》 | 오영수 | 조창준 | |
《환객》 | 겔 하르트만(G. Hartmann) | 박영근 | |
《그 사람》 | 김창식 | 천성육 | |
《상환》 | 프릿츠 카린시(Frigyes Karinthy) | 박영근 | |
《위험지역》 | 유진 오닐(Eugene Gladstone O’Neill) | 최상식 | |
《거룩한 직업》 | 이근삼 | 이승호 | |
《귀로》 | 오재호 | 오명환 | |
《벽》 | J. P. 사르트르(Jean Paul Sartre) | 조창준 | |
《잠파노와 젤소미나》 | 페데리코 펠리니(Federico Fellini) | 김수안 | |
《황태자의 첫사랑》 | 마이어 푀르스터(Mey´er För´ster) | 최상식 | |
《오이디푸스 왕》 | 소포클레스(Sophocles) | 박근영 | |
《요한을 찾습니다》 | 이현화 | 신춘성 | |
《리어왕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유병학 | |
《새끼여우들》 | 릴리언 헬만(Lillian Hellman) | 신춘성 | |
1972 |
《수전노》 | 몰리에르(Jean Baptiste Poquelin) | 남칠현 |
《모래상자》 | 에드워드 올비(Edward Franklin Albee) | 이승규 | |
《귀로》 | 오재호 | 안병석 | |
《청혼》 | 안톤 체호프(Anton Pavlovich Chekhov) | 홍순창 | |
《방문객》 | 박양원 | 김호준 | |
《카리비도의 달》 | 유진 오닐(Eugene Gladstone O’Neill) | 우상전 | |
《회담》 | 조성현 | 임학성 | |
1973 |
《안나 클라이브》 | 알폰소 사스트레(Alfonso Sastre) | 김호준 |
《배비장전》 | 김상열 | 김기횡, 최동찬 | |
《그럼》 | 데이비드 캠프론(David campron) | 이종한, 박명근, 이동재 | |
《골동품상 이아컴씨》 | 존 딕슨 카(John Dickson Carr) | 조광호 | |
《10분 후에 부파로에》 | 귄터 그라스(Gunter William Grass) | 임영서/안익기 | |
《새로운 하숙인》 | 이오네스코(Eugene Ionesco) | 안병석 | |
1974 |
《햄릿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이동재 |
《방》 | 헤럴드 핀터(Harold Pinter) | 이경록 | |
《어떤 취침 시간》 | 숀 오케이시(Sean O’Casey) | 이경록 | |
《방》 | 헤럴드 핀터(Harold Pinter) | 이종한 | |
《넷》 | 이강백 | 조광호 | |
1975 |
《고도를 기다리며》 | 사무엘 베케트(Samuel Beckett) | 유중렬 |
《삼각모자》 | 알라르콘 아리샤(Alarcóny Ariza) | 이경록 | |
《블랙코미디》 | 피터 쉐퍼(Peter Shaffer) | 이원기 | |
《물리학자들》 | F. 뒤렌마트(Friedrich Durrenmatt) | 허 은 | |
《캉돌 왕》 | 앙드레 지드(Andre Gide) | 유중렬 | |
《셋》 | 이강백 | 허 은 | |
《방》 | 헤럴드 핀터(Harold Pinter) | 김태수 | |
1976 |
《뜻대로 하세요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최경옥 |
《요리 운반기》 | 헤럴드 핀터(Harold Pinter) | 이경록 | |
《도적들의 무도회》 | 장 아누이(Jean Anouilh) | 최경옥 | |
《허생전》 | 오영진 | 조성현 | |
《F 선상의 아리아》 | 이 반 | 정남철 | |
《굿》 | 이원기 | 이원기 | |
1977 |
《청혼》 | 안톤 체호프(Anton Pavlovich Chekhov) | 최정일 |
1978 |
《유랑극단》 | 이근삼 | 최정일 |
《고도를 기다리며》 | 사무엘 베케트(Samuel Beckett) | 이원기 | |
《색시공장》 | 윤 환 | 김응태 | |
《갈가마귀》 | 오재호 | 명선목 | |
《불어를 하세요》 | 머리 시스걸(Murray Schisgal) | 김태수 | |
《성난 얼굴로 돌아보라》 | 존 오스본(John Osborne) | 김용규 | |
《리어왕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최정일 | |
《초분》 | 오태석 | 명선목 | |
《파우스트》 | 괴테(Johann Wolfgang von Goethe) | 이원기 | |
《정의의 사람들》 | 알베르 카뮈(Albert Camus) | 이주상 | |
《오셀로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김용태 | |
《정복되지 않는 여자》 | 서머셋 모옴(Somerset Maugham) | 김영문 | |
《유산》 | 김자림 | 나상만 | |
《십자 표시가 있는 곳》 | 유진 오닐(Eugene Gladstone O’Neill) | 전병철 | |
1979 |
《생일파티》 | 헤럴드 핀터(Harold Pinter) | 김영준 |
《엘렉트라》 | 에우리피데스(Euripides) | 김용규 | |
《둥둥 낙랑둥》 | 최인호 | 김두영 | |
1980 |
《블랙코미디》 | 피터 쉐퍼(Peter Shaffer) | 정상수 |
《월부로 산 회전목마》 | 페르난도 아라발(Fernando Arrabal) | 박귀재 | |
《지평선 너머》 | 유진 오닐(Eugene Gladstone O’Neill) | 정상수 | |
《침입자》 | 마테를링크(Maurice Maeterlinck) | 안창경 | |
《오해》 | 알베르 카뮈(Albert Camus) | 안창경 | |
《한 여름 밤의 꿈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유영호 | |
《허생전》 | 오영진 | 박귀재 | |
1981 |
《로만 코미디》 | 플라우투스(Titus Maccius Plautus) | 정석균 |
《안나 클라이브》 | 알폰소 사스트레(Alfonso Sastre) | 정상수 | |
《세 자매》 | 안톤 체호프(Anton Pavlovich Chekhov) | 이광진 | |
《피의 혼례》 | 가르시아 로르카(Federico Garcia Lorca) | 임기원 | |
《돈키호테》 | 세르반테스(Miguel de cervantes) | 임기원 | |
《밤으로의 긴 여로》 | 유진 오닐(Eugene Gladstone O’Neill) | 정정준 | |
《아일랜드》 | 아돌 푸가드(Athol Lanigan Fugard) | 유영호 | |
《진짜 하운드 경위》 | 톰 스토파드(Tom Stoppard) | 허성용 | |
《느릅나무 밑의 욕망》 | 유진 오닐(Eugene Gladstone O’Neill) | 이광진 | |
《정복되지 않는 여자》 | 서머셋 모옴(Somerset Maugham) | 강성수 | |
《거울에 비친 자화상》 | 스텐리 리차드(Stanley Richards) | 최대용 | |
《벚꽃 동산》 | 안톤 체호프(Anton Pavlovich Chekhov) | 홍철이 | |
《노부인의 방문》 | F. 뒤렌마트(Friedrich Durrenmatt) | 장진호 | |
1982 |
《페르귄트》 | 안톤 체호프(Anton Pavlovich Chekhov) | 강정수 |
《날개》 | 이상 | 최강일 | |
《아마데우스》 | 피터 쉐퍼(Peter Shaffer) | 안창경 | |
《작가를 찾는 6인의 등장인물》 | 루이지 피란델로(Luigi Pirandello) | 박성철 | |
《물리학자들》 | F. 뒤렌마트(Friedrich Durrenmatt) | 홍우진 | |
1983 |
《안도라》 | 막스 프리슈(Max Rudolf Frisch) | 전주석 |
《백양섬의 욕망》 | 우고베티(Ugo Betti) | 강정수 | |
《어둠의 힘》 | 톨스토이(Lev Nikolaevich Tolstoy) | 오세황 | |
《페드르》 | 장 라신(Jean Racine) | 김영문 | |
《중매인》 | 쏜톤 와일더(Thornton Niven Wilder) | 유상희 | |
《베르나르다 알바의 집》 | 가르시아 로르카(Federico Garcia Lorca) | 정보석, 정지은 | |
1984 |
《피의 혼례》 | 가르시아 로르카(Federico Garcia Lorca) | 홍우진 |
《한 여름 밤의 꿈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이 송 | |
《바람 앞에 등을 들고》 | 오태영 | 송한윤 | |
《햄릿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오세황 | |
《감마선은 달빛무늬 얼룩진 금잔화에어떤 영향을 주었나?》 | 폴 진델(Paul Zindel) | 정지은 | |
1985 |
《지평선 너머》 | 유진 오닐(Eugene Gladstone O’Neill) | 차기환 |
《찰리 브라운》 | 찰스 슐츠(Charles Schulz) | 배종섭 | |
《어항》 | 이언호 | 최상진 | |
《몽아》 | 유진 오닐(Eugene Gladstone O’Neill) | 이명희 | |
《뜻대로 하세요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송한윤 | |
《오하이오 즉흥극》 | 사무엘 베케트(Samuel Beckett) | 김상규 | |
《나는 아니야》 | 사무엘 베케트(Samuel Beckett) | 차영건 | |
《대단원》 | 사무엘 베케트(Samuel Beckett) | 차영건 | |
《발걸음》 | 사무엘 베케트(Samuel Beckett) | 권미경 | |
《독백》 | 사무엘 베케트(Samuel Beckett) | 송한윤 | |
1986 |
《제18공화국》 | 이근삼 | 이상규 |
《가스펠》 | J. 베루(Joseph Beruh Present),E. 렌스버리(Edgar Lansbury) | 이병주 | |
《세일즈맨의 죽음》 | 아서 밀러(Arthur Miller) | 강석무 | |
《갈매기》 | 안톤 체호프(Anton Pavlovich Chekhov) | 최상일 | |
《꼴뚜기 행장기》 | 한옥근 | 권경수 | |
《팬티》 | 슈테른하임(Carl Sternheim) | 김유준 | |
《도적들의 무도회》 | 장 아누이(Jean Anouilh) | 송한윤 | |
《로미오와 줄리엣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변우균 | |
《서쪽에서 온 바람둥이》 | 존 싱(John Millinton Synge) | 정임실 | |
1987 |
《철부지들》 | 톰 존스(Tom Jones) | 방웅규 |
《날개》 | 이 상 | 최광일 | |
《위험지대》 | 유진 오닐(Eugene Gladstone O’Neill) | 김기중 | |
《계산기》 | 엘머 라이스(Elmer Leopold Rice) | 강희석 | |
《돼지꿈》 | 황석영 | 임홍주 | |
《쥬라기의 사람들》 | 이강백 | 김유순 | |
《아리랑》 | 박우춘 | 최광일 | |
1988 |
《헤어》 | 제임스 라도(James Rado) | 임재찬 |
《이런 세상 건져주소》 | 이장길 | 권인찬 | |
《쥐덫》 | 아가사 크리스티(Agatha Christie) | 최우정 | |
《헤다 가블러》 | 헨리크 입센(Henrik Ibsen) | 권경수 | |
《벚꽃 동산》 | 안톤 체호프(Anton Pavlovich Chekhov) | 최재오 | |
《통일 사슬》 | 김유진 | 권인찬 | |
《언챙이 곡마단》 | 김상열 | 이승규, 박인환 | |
《유랑극단》 | 이근삼 | 임상태 | |
《엄마의 모습》 | 캐더린 포베스(Catherine Forbes) | 국기형, 박병호 | |
1989 |
《친구는 멀리 갔어도》 | 정도상 | 이장길 |
《찰리 브라운》 | 찰스 슐츠(Charles Schulz) | 박성호 | |
《30일간의 야유회》 | 이근삼 | 박춘선 | |
《환도와 리스》 | 페르난도 아라발(Fernando Arrabal) | 윤지민 | |
《억척어멈과 그의 자식들》 | 베르톨트 브레히트(Bertolt Brecht) | 박은우 | |
《햄릿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임홍주 | |
《우리 읍내》 | 쏜톤 와일더(Thornton Niven Wilder) | 임홍주 | |
1990 |
《아마데우스》 | 피터 쉐퍼(Peter Shaffer) | 위성신 |
《로만 코미디》 | 플라우투스(Titus Maccius Plautus) | 서현민 | |
《시집가는 날》 | 오영진 | 박제현 | |
《유령》 | 헨리크 입센(Henrik Ibsen) | 공동연출 | |
《우리 집 식구는 아무도 못 말려》 | 조지 S. 카우프만(George S. Kaufman) | 이병주 | |
《비옹사옹》 | 이강백 | 임재찬 | |
《중매인》 | 쏜톤 와일더(Thornton Niven Wilder) | 한진수 | |
《어머니》 | 막심 고리키(Maxim Gorky) | 우지현 | |
1991 |
《돈키호테》 | 세르반테스(Miguel de cervantes) | 이병주 |
《바다로 가는 기사들》 | 존 싱(John Millinton Synge) | 김달중 | |
《위험한 커브》 | 탄크레드 도르스트(Tankred Dorst) | 김 관 | |
《침입자》 | 마테를링크(Maurice Maeterlinck) | 이왕구 | |
《라마 사박다니》 | 이현화 | 박칠순 | |
《나뭇잎들의 동화》 | 공동창작 | 천창훈 | |
《세 자매》 | 안톤 체호프(Anton Pavlovich Chekhov) | 조정선 | |
《오델로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이병주 | |
《봉산탈춤》 | 미상 | 이왕구 | |
《마라/사드》 | 페터 바이스(Peter Weiss) | 위성신 | |
《생일파티》 | 헤럴드 핀터(Harold Pinter) | 박근수, 김황도 | |
1992 |
《페임》 | 크리스토퍼 고어(Christopher Gore) | 김달중 |
《변방에 우짖는 새》 | 현기영 | 김석만 외 | |
《30일간의 야유회》 | 이근삼 | 이범수 | |
《유랑극단》 | 이근삼 | 김형태 | |
《오! 얼마나 아름다운 폭력인가?》 | 공동창작 | 이유경 | |
《피의 혼례》 | 가르시아 로르카(Federico Garcia Lorca) | 이 송 외 | |
1993 |
《벽》 | 공동창작 | 이지수 |
《동승》 | 함세덕 | 박종문 | |
《태풍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최치림 | |
《소나기》 | 황순원 | 임명철 | |
《세일즈맨의 죽음》 | 아서 밀러(Arthur Miller) | 양광남 | |
1994 |
《칠산리》 | 이강백 | 이찬호 |
《그리스》 | 워렌 케시(Randal Kleiser) | 전재신 | |
《달걀 속의 협주곡》 | 페르난도 아라발(Fernando Arrabal) | 김종우 | |
《허생전》 | 박지원 | 고승길(교수) | |
《디이나의 거울》 | 전익표 | 전익표 | |
《세일럼의 마녀들》 | 아서 밀러(Arthur Miller) | 김달중 | |
《마라 사드》 | 페터 바이스(Peter Weiss) | 김성환 | |
1995 |
《꿈, 신데렐라》 | 이지수 | 김광섭 |
《격정만리》 | 김명곤 | 김경락 | |
《마로윗츠 햄릿》 | 찰스 마로윗츠(Charles Marowitz) | 전익표 | |
《맥베스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이왕구 | |
《좀머씨 이야기》 | 파트리크 쥐스킨트(Patrick Suskind) | 노윤자 | |
《한 여름 밤의 꿈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강민호 | |
《장엄한 예식》 | 페르난도 아라발(Fernando Arrabal) | 박칠순 | |
1996 |
《향단전》 | 김형태 | 김형태 |
《버스정류장에서 본 오이디푸스》 | 소포클레스(Sophocles) | 박칠순 | |
《피의 결혼》 | 가르시아 로르카(Federico Garcia Lorca) | 박민선 | |
《베짱이》 | 고성일 | 고성일 | |
《도적들의 무도회》 | 장 아누이(Jean Anouilh) | 김황도 | |
1997 |
《더 사운드 오브 보이스》 | 데이비드 헨리 황(David Henry Hwang) | 차성준 |
《리어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김 관 | |
《끽다거》 | 최현묵 | 한상범 | |
《갈매기》 | 안톤 체호프(Anton Pavlovich Chekhov) | 이찬호 | |
1998 |
《토마토 여인》 | 페데리코 펠리니(Federico Fellini) | 김두용 |
《마하고니 시의 번영과 몰락》 | 베르톨트 브레히트(Bertolt Brecht) | 오경택, 배강달 | |
《가스펠》 | J. 베루(Joseph Beruh Present),E. 렌스버리(Edgar Lansbury) | 이병주 | |
《메디아》 | 에우리피데스(Euripides) | 김성환 | |
1999 |
《영자와 진택》 | 이강백 | 이희재 |
《천국에서 왔다는 사나이》 | 김기림 | 장은미 | |
《M. 제롬의 추억》 | 닐 사이먼(Neil Simon) | 김동연 | |
《돈키호테》 | 세르반테스(Miguel de cervantes) | 오경택 | |
2000 |
《느릅나무 밑의 욕망》 | 유진 오닐(Eugene Gladstone O’Neill) | 심현규 |
《천일의 앤》 | 맥스웰 앤더슨(Maxwell Anderson) | 공민주 | |
《둥둥 낙랑둥》 | 최인훈 | 임인자, 최중민 | |
《왕자 대화린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서태원 | |
《맥베스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황우성 | |
2001 |
《오구》 | 이윤택 | 강정식 |
《시련》 | 아서 밀러(Arthur Miller) | 주장석, 강명수 | |
《굿 닥터》 | 닐 사이먼(Neil Simon) | 오종훈 | |
《카르멘》 | 프로스페르 메리메(Prosper Mérimée) | 최중민 | |
2002 |
《우리 읍내》 | 쏜톤 와일더(Thornton Niven Wilder) | 신유청 |
《Romeo & Juliet.com》 | 김선정 | 배재훈 | |
《웨스트 사이드 스토리》 | 제롬 로빈스(Jerome Robbins) | 최재현 | |
《문제적 인간 연산》 | 이윤택 | 윤경숙 | |
2003 |
《Alice In Wonder Space》 | 최대용 | 최대용 |
《동지섣달 꽃본듯이》 | 이강백 | 허연정 | |
《오델로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심현규 | |
《갈매기》 | 안톤 체호프(Anton Pavlovich Chekhov) | 최규환 | |
《휴화산》 | 최대용 | 최대용 | |
《우리 집 식구는 아무도 못 말려》 | 조지 S. 카우프만(George S. Kaufman) | 심현규 | |
2004 |
《아마데우스》 | 피터 쉐퍼(Peter Shaffer) | 이경성 |
《하녀들》 | 장 주네(Jean Genet) | 최대용 | |
《벚꽃 동산》 | 안톤 체호프(Anton Pavlovich Chekhov) | 양승주 | |
《북어 대가리》 | 이강백 | 이종훈 | |
《코카서스의 백묵원》 | 베르톨트 브레히트(Bertolt Brecht) | 임세빈 | |
《노틀담의 꼽추》 | 빅토르 위고(Victor-Marie Hugo) | 문만세 | |
2005 |
《인류 최초의 키스》 | 고연옥 | 김주후 |
《사랑의 종을 울려라》 | 닐 사이먼(Neil Simon) | 이기홍 | |
《동승》 | 함세덕 | 신유청 | |
《봄이 오면 산에 들에》 | 최인훈 | 김지수 | |
《송산야화》 | 장유정 | 김효진 | |
《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》 | 파울로 코엘료(Paulo Coelho) | 윤희승 | |
《삼총사》 | 알렉상드르 뒤마(Alexandre Dumas) | 이기홍 | |
2006 |
《뮤지컬 햄릿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박소영 |
《E.R.》 | 베넷 이 조르넷(Josep M Benet I Jornet) | 김준규 | |
《어머니》 | 이윤택 | 윤희승 | |
《도서관에서 있었던 기이한 이야기》 | 무라카미 하루키(Murakami Haruki) | 신유청 | |
《누군가 당신의 바지를 내립니다》 | 박종빈, 조병철 | 박종빈 | |
《Crucible》 | 아서 밀러(Arthur Miller) | 정 현 | |
《옛날 옛적 훠이훠이》 | 최인훈 | 최재현 | |
《혜초2006》 | 김정숙 | 김두영(교수) | |
2007 |
《혜초2007》 | 김정숙 | 허연정 |
《밑바닥에서》 | 막심 고리키(Maxim Gorky) | 김효진 | |
《Les Cenci》 | 앙토넹 아르토(Antonin Artaud) | 성민환 | |
《길》 | 김상열 | 이경성 | |
《핼리혜성》 | 이양구 | 이양구 | |
《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》 | 테네시 윌리엄스(Thomas Williams) | 문만세 | |
《해골과 심장》 | 이지은 외 | 이지은 | |
《안녕하세요? 프레펠교수님》 | 장 타르디유(Jean Tardieu) | 미셸 프뤼너(Michel Pruner) | |
《지도 마니아-문의 저편》 | 가토 다다시(Kato Tadashi) | 가토 다다시(Kato Tadashi) | |
《유린타운》 | 그레그 커티스(Greg Kotis) | 최대용 | |
《유리동물원》 | 테네시 윌리엄스(Thomas Williams) | 최대용 | |
2008 |
《갈매기》 | 안톤 체호프(Anton Pavlovich Chekhov) | 김휘래 |
《마르고 닳도록》 | 이강백 | 황산백 | |
《리진》 | 신경숙 | 이현수 | |
《들어봐! 잔메자야》 | 아디야 랑가챠리야(Adya Rangachariya) | 이민형 | |
《고도를 기다리며》 | 사무엘 베케트(Samuel Beckett) | 김휘래 | |
《La Vida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김종우(교수) | |
《우리 읍내》 | 쏜톤 와일더(Thornton Niven Wilder) | 고구정 | |
《겨울 이야기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최치림(교수) | |
2009 |
《G코드의 탈출》 | 윤영선 | 신선우 |
《황혼녘에 생긴 일》 | F. 뒤렌마트(Friedrich Durrenmatt) | 김예람 | |
《사랑을 찾아서》 | 김광림 | 박성수 | |
《Odysseus Died From AIDS》 | 스테판 스보보다(Stephen Svoboba) | 이지연 | |
《고독에서 가장 먼 곳》 | 정의신 | 조민정 | |
《키스》 | 윤영선 | 백신영 | |
《Ignorabimus》 | 채산하 | 채산하 | |
《사랑을 주세요》 | 닐 사이먼(Neil Simon) | 현예솔 | |
《장엄한 예식》 | 페르난도 아라발(Fernando Arrabal) | 최규열 | |
《꿈 Quiz 위선 그리고 디너》 | 조병철 | 조병철 | |
2010 |
《Key-Maker》 | 신동민 | 신동민 |
《블랙커피 한 잔 하실래요?》 | 공동창작 | 박성수 | |
《하녀들》 | 장 주네(Jean Genet) | 조민정 | |
《벚꽃 동산》 | 안톤 체호프(Anton Pavlovich Chekhov) | 김주년 | |
《페드르》 | 장 라신(Jean Racine) | 백신영 | |
《풍성(風聲)》 | 맥가(Karl Maka) | 양천박 | |
《Psychosis 4.48》 | 사라 케인(Sarah Kane) | 이새봄 | |
《RENT》 | 조나단 라슨(Jonathan Larson) | 박세연 | |
《임차인》 | 윤영선 | 전서연 | |
《출구 없는 방》 | 장 폴 사르트르(Jean-Paul Sartre) | 임 욱 | |
《보석과 여인》 | 이강백 | 윤종현 | |
《리어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이새봄 | |
《유령》 | 헨리크 입센(Henrik Ibsen) | 현예솔 | |
《Cabaret》 | 조 마스터로프(Joe Masteroff) | 강민호(교수) | |
2011 |
《시동라사》 | 김은성 | 손세리 |
《신의 아그네스》 | 존 피엘마이어(John Pielmeier) | 김지빈 | |
《꽃샘》 | 김가람 | 김가람 | |
《I Love You, You’re Perfect, Now Change》 | 조 디피에트로(Joe DiPietro) | 스테르 마이어(Sterre Maier)(교수) | |
《오해》 | 알베르 카뮈(Albert Camus) | 윤종현 | |
《꽃 찾으러 왔단다》 | 조혜란 | 김예훈 | |
《모텔, 서울》 | 이 강 | 김희경 | |
《날 보러와요》 | 김광림 | 김성훈 | |
《리처드 3세&소라별이야기》 | 공동창작 | 백남영(교수) | |
《리어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이금희 | |
《세일즈맨의 죽음》 | 아서 밀러(Arthur Miller) | 황산백 | |
2012 |
《바다 한가운데서》 | 스와보미르 므로제크(Slawomir Mrozek) | 윤종현 |
《Almost Maine》 | 존 카리아니(John Cariani) | 전희정 | |
《바냐삼촌》 | 안톤 체호프(Anton Pavlovich Chekhov) | 강민호(교수) | |
《Songs for a New World》 | 제이슨 로버트 브라운(Jason Robert Brown) | 스테르 마이어(Sterre Maier)(교수) | |
《키사라기》 | 코사와 료타(Kosawa Ryota) | 윤종현 | |
《장군 슈퍼》 | 김한길 | 박서진 | |
《타오르는 어둠속에서》 | 안토니오 부에로 바예호(Antonio Buero Vallejo) | 윤종현 | |
《갈매기》 | 안톤 체호프(Anton Pavlovich Chekhov) | 전희정 | |
2013 |
《유리동물원》 | 테네시 윌리엄스(Thomas Williams) | 김슬기 |
《다이아몬드》 | 임승민 | 장민영 | |
《빅 픽처》 | 더글라스 케네디(Douglas Kennedy) | 장해봄 | |
《한씨연대기》 | 황석영 | 강민호(교수) | |
《다시, 봄을 그리다》 | 공동창작 | 백남영(교수) | |
《깨지마라, 안티고네》 | 장 아누이 | 김가람 | |
《아빠들의 소꿉놀이》 | 오세혁 | 금재은 | |
《곰》 | 정수민 | 박서진 | |
《땀》 | 공동창작 | 김예빈, 송현정 | |
《한여름 밤의 꿈》 | W. 셰익스피어(William Shakespeare) | 최대용 | |
《콩나물의 합창》 | 오가와 미레이 | 허연정 | |
《오장군의 발톱》 | 박조열 | 김희경 | |
2014 |
《바다와 양산》 | 마쓰다 마사타카 | 채산하 |
《맨하탄 1번지》 | 윤영선 | 이휘재 | |
《등신과 머저리》 | 김상열 | 박단비 | |
《1등급 인간》 | 이난영 | 박정은 | |
《405호 아줌마는 참 착하시다》 | 박상현 | 송현정 | |
《낙원의 길목에서》 | 이미정 | 남예규 | |
《아시안 스위트》 | 정의신 | 이지윤 | |
《아랑가》 | 김가람 | 김가람 | |
《이디푸스와의 여행》 | 장정일 | 채산하 | |
《나쁜자석》 | 더글라스 맥스웰(Douglas Maxwell) | 신동민 | |
《제삿밥》 | 박희영 | 남예규 | |
《양덕원이야기》 | 민복기 | 정석호 | |
《토끼와 포수》 | 박조열 | 김희경 | |
《틱틱 붐!》 | 조나단 라슨(Jonathan Larson) | 송현정 | |
《인류 최초의 키스》 | 고연옥 | 김슬기 | |
《마지막 황녀》 | 권비영 | 장해봄 | |
《너나들이, 친미우지엔》 | 공동창작 | 박세연 | |
《Time to tea》 | 닐 사이먼(Neil Simon) | 허연정 | |
2015 |
《방문자》 | 에릭 엠마뉴엘 슈미트(Eric Emmanuel Schmitt) | 문성수 |
《우리읍내》 | 손톤 와일더(Thornton Wilder) | 이휘재 | |
《속살》 | 이은준 | 정석호 | |
《해무》 | 김민정 | 하영오 | |
《거주자 우선 주차구역》 | 선욱현 | 강혜정 | |
《고아 뮤즈들》 | 미셸 마르크 부샤르(Michel Marc Bouchard) | 박단비 | |
《달이 지고, 꽃이 피네》 | 오영진 | 고다연 | |
《떠벌이 우리 아버지 암에 걸리셨네》 | 윤영선 | 금재은 | |
《살로메》 | 오스카 와일드(Oscar Wilde) | 박정은 | |
《카페신파》 | 김명화 | 정석호 | |
《삼류배우》 | 김순영 | 이동준 | |
《래빗홀》 | 데이비드 린지(David Lindsay) | 이세원 | |
《트로이카》 | 최 윤 | 최 윤 | |
《매장된 아이》 | 샘 셰퍼드(Sam Shepard) | 남예규 | |
《어글리맨》 | 브래드 프레이저(Brad Fraser) | 이지수(교수) | |
《The Devil》 | 요한 볼프강 폰 괴테(Johann Wolfgang von Goete) | 이지나(교수) | |
2016 |
《겨울과 봄 사이》 | 닐 사이먼(Neil Simon) | 고다연 |
《뻘》 | 김은성 | 박성암 | |
《Almost, Maine》 | 존 카리아니(John Cariani) | 고서빈 | |
《테레즈 라켕》 | 에밀 졸라(Emile Zola) | 최아련 |